도쿄 vs 서울 딩크 하우스 비교 (스타일, 공간활용, 분위기)
자녀 없이 둘만의 삶을 추구하는 딩크(DINK) 부부들이 세계 곳곳에서 증가하면서, 도심 속 소형 주거 형태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좁은 공간을 고도로 활용하는 도시, 도쿄와 서울은 딩크 하우스 트렌드를 이끄는 대표적인 지역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도쿄와 서울의 딩크 하우스를 비교해 보며, 두 도시가 보여주는 인테리어 스타일, 공간 활용 방식, 그리고 주거 분위기의 차이를 살펴봅니다.도쿄의 절제된 미와 서울의 감각적 모던함도쿄 딩크 하우스의 가장 큰 특징은 일본식 미니멀리즘이 강하게 반영된다는 점입니다. 화이트, 아이보리, 라이트 우드 계열의 색상을 기본으로 하고, 복잡한 장식을 최소화한 단정한 인테리어가 주를 이룹니다. 여백의 미를 중요시하며, 수납장과 가구는 벽과 일체형처럼 구성되어 공간을 시각적으..
2025. 4. 11.